ASSIST

정보서비스 투자유치가이드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란?

FAFF fund of funds

농림수산식품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농림수산식품산업의 규모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정부가 조성하는 투자펀드시스템으로 농어업경영체, 식품사업자 등 농림수산식품경영체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또는 경영참여형사모집합투자기구에 출자하는 방식의 Fund of Funds 입니다.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운용구조

법적 자격을 갖춘 펀드운용회사가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의 출자금과 민간자금을 결합하여 결성하며, 성장가능성 있는 농림수산식품경영체의 사업성을 검토·선발하여 투자합니다

출자자 구성

투자조합

VC

Venture Capital

벤처기업에 주식투자형식으로 투자하는기업 또는 기업의 자본

LP

Limited Partner

투자조합을 구성하는 출자자 중출자액 한도로 유한책임을 지는 조합원

GP

General Partner

투자조합을 구성하는 출자자 중 조합의 채무에 대하여 무한으로 책임을 지는 조합원 , LP가 출자한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사가 해당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사가 해당

농림수산식품 투자조합 결성현황

민원서식 목록
조성년도 펀드명 투자분야 투자기간 운용사 전화 펀드규모
2022 농식품새싹키움매칭펀드 농식품 통합지원 2022.12~2026.12 농업정책보험금융원 02-3775-6754 10억
비엔케이 그린바이오 투자조합 그린바이오 2022.12~2023.06 비엔케이벤처투자 02-508-8187 200억
엔에이치나이스농식품투자조합1호 농림축산식품 2022.12~2026.12 나이스투자파트너스 & 농협은행 02-2122-5835 500억
인라이트 애그테크플러스펀드 2호 마이크로 2022.10~2026.01 인라이트벤처스 053-341-9222 65억
임팩트-이크럭스 농식품벤처 투자조합 농식품벤처펀드 2022.10~2026.01 임팩트파트너스 & 이크럭스벤처
파트너스
02-569-4560 125억
패스파인더 그린바이오 투자조합 그린바이오 2022.10~2026.01 패스파인더에이치 02-739-9041 200억
CKD Smart Farm 2호 농식품투자조 스마트농업 2022.10~2026.01 씨케이디창업투자 02-3453-3918 200억
2022 원익 스마트 혁신 Agtech투자 스마트농업 2022.10~2026.01 원익투자파트너스 02-6446-7125 210억
오라클프레쉬펀드 마이크로 2022.10~2026.01 오라클벤처투자 02-2039-1643 65억
빌랑스 징검다리 농식품 투자조합 징검다리 2022.10~2025.04 빌랑스인베스트먼트 070-4736-6660 216억
마그나 FUTURE 펀드 농림축산식품 2022.10~2026.01 마그나인베스트먼트 02-554-2222 300억
나우농식품투자펀드 5호 농식품벤처펀드 2022.08~2026.08 나우아이비캐피탈 02-565-6234 140억
유니온수산투자조합 수산업 2022.07~2026.07 유니온투자파트너스 02-594-8470 100억
넥스트웨이브 2022 수산벤처
투자조합
수산벤처창업 2022.07~2026.07 엔브이씨파트너스 & 마이다스 동아인베스트먼트 051-914-0938 96억
세종 농식품 벤처펀드 농식품벤처펀드 2022.07~2026.07 세종벤처파트너스 070-4667-0760 130억
엔에이치영파머스투자조합 영파머스 2022.07~2026.07 엔에이치벤처투자 02-6226-6808 105억
비하이농식품마이크로투자조합 마이크로 2022.07~2026.07 비하이인베스트먼트(유) 02-539-7997 65억
2021 씨엔티테크 제13호 농식품 투자조합 창업보육 2022.01~2026.01 씨엔티테크 02-3152-5830 71억
동훈 농식품벤처스타 2호 투자조합 농식품벤처펀드 2021.12~2025.12 동훈인베스트먼트 02-6250-1500 100억
하이브리드 ESG 세컨더리펀드 제일호 세컨더리(혼합형) 2021.12~2025.06 포스코기술투자 & 메타인베스트먼트 02-3457-6300 520억
아이디브이-아이피 수산전문
투자조합 3호
수산업 2021.11~2025.11 아이디벤처스(주) 02-556-9300 150억
신세계웰니스투자조합 농림축산식품 2021.10~2025.10 시그나이트파트너스(주) 02-6981-3939 182억
마그나 GREEN 펀드 그린바이오 2021.09~2025.09 마그나인베스트먼트 02-554-2222 150억
비엔케이 농식품투자조합 제3호 스마트농업 2021.09~2025.08 비엔케이벤처투자 02-508-8187 150억
패스타인더 영파머스투자조합 영파머스 2021.08~2025.08 (주)패스파인더에이치 02-739-9041 105억
메가농식품벤처투자조합3호 농식품벤처펀드 2021.07~2025.07 JB인베스트먼트 02-3453-2540 125억
빙그레농식품투자조합2호 마이크로 2021.07~2025.07 (유)동문파트너즈 02-2265-0566 65억
현대-GS리테일 Agro-Bio펀드 3호 농림축산식품 2021.07~2025.07 현대기술투자 02-728-8972 210억
엔브이씨 2021 수산벤처투자조합 수산벤처창업 2021.07~2025.07 엔브이씨파트너스주식회사 051-914-0938 105억
2020 롯데농식품테크펀드1호 농림축산식품 2020.12~2024.12 롯데액셀러레이터(주) 02-2051-1523 152억
아이에스유(ISU)-
힘내라경북애그리푸드투자조합
지역특성화펀드(경북) 2020.11~2024.11 (주)이수창업투자 02-6207-7990 110억
엔에이치농식품벤처투자조합 농식품 벤처펀드 2020.10~2024.10 NH벤처투자(주) 02-6226-6808 130억
나이스앤영파머스투자조합 영파머스 2020.10~2024.10 나이스투자파트너스(주) 02-2122-5835 100억
엔에이치나우농식품2호사모투자
합자회사
농림축산식품 2020.09~2024.09 나우아이비캐피탈&농협은행 02-565-6234
02-2080-7595
400억
인라이트8호 애그테크플러스펀드 마이크로 2020.09~2024.09 인라이트벤처스 053-341-9222 65억
농식품 스텝업 투자조합 징검다리 2020.09~2024.09 세종벤처파트너스& 대성창업투자 070-4667-0760
02-559-2900
220억
마그나 FRESH펀드 농식품 벤처펀드 2020.07~2024.07 마그나인베스트먼트 02-554-2222 130억
가이아수산벤처창업투자조합1호 수산벤처창업 2020.07~2024.07 가이아벤처파트너스 02-6451-5656 150억
비엔케이 수산투자조합 제1호 수산벤처창업 2020.07~2024.07 비엔케이벤처투자 02-508-8187 150억
2019 마이다스동아-엔에스씨 수산펀드 2호 수산업 2019.12~2023.12 마이다스동아인베스트먼트 &
농심캐피탈
02-2020-0906
02-827-1600
200억
IDV-IP수산전문투자조합 2호 수산업 2019.12~2023.12 아이디벤처스 02-556-9300 150억
엔에이치나우농식품1호사모투자
합자회사
농림축산식품 2019.08~2023.08 나우아이비캐피탈 & 농협은행 02-565-6234
02-2080-7595
400억
유엔그린시너지투자조합 농림축산식품 2019.08~2023.08 유티씨인베스트먼트 &
나이스에프앤아이
02-783-3347
02-2122-5800
230억
타임와이즈농식품벤처펀드 농식품벤처펀드 2019.07~2023.07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02-557-1187 125억
동훈 농식품벤처스타 1호투자조합 마이크로 2019.07~2023.07 동훈인베스트먼트 02-6250-1500 63억
현대 Agro-Bio펀드 2호 ABC펀드 2019.07~2023.07 현대기술투자 02-728-8990 100억
빙그레농식품투자조합 마이크로 2019.06~2023.06 동문파트너즈 02-2265-0566 62억

01 투자검토요청

VC간접접촉

VC직접접촉

KEY POINTS

사업계획 수립

투명한 재무현황

명확한 자금소요계획 수립

- 컨설팅, 회계법인 등 활용
- 자금의 용도
- 자금조달 계획(부족자금)
- 투자유치 방법

02 투자검토

VC의 기업방문 PT & 경영진 인터뷰

VC의 시장 및 기술력 검증 경쟁력 입증 자료 제공

VC의 실사 및 현장점검

투자조건에 대한 협상

KEY POINTS

임직원의 사업에 대한 의지

시장 전망 및 기술 경쟁력

정확하고 신속한 자료 제공

이행가능한 투자조건 협상

- 투자 방법 / 주식, PF
- 투자 조석 / 금리, 회수시점

03 투자결정

회계·법무실사

투자계약서 작성

투자결정

KEY POINTS

투자계약서 검토

- 표준계약서 활용 / 법무법인 활용

투자유치 이후에 서류 제출

- 증자 또는 사채발행 서류

투자자금의 안정적 관리

투자 이후 관리

- 정기회의 및 자료 제출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은 펀드 운용사에 있습니다.

투자대상

민원서식 목록
사업분야 투자대상 관련 공고 및 법률
농업 농작물 재배업 식량작물 재배업, 채소작물 재배업, 과실작물 재배업, 화훼작물 재배업, 특용작물 재배업, 약용작물 재배업, 버섯 재배업, 양잠업 및 종자·묘목 재배업 등
임업 육림업(자연휴양림·자연수목원의 조성·관리·운영업 포함), 임산물 생산·채취업 및 임업용 종자·묘목 재배업 등
축산업 축산업 동물(수생동물 제외)의 사육업·증식업·부화업·종축업(種畜業)
수산업 수산업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하거나 양식하는 산업, 염전에서 바닷물을 자연 증발시켜 제조하는 염산업 및 관련 산업 등
식품산업 식품을 생산/가공/제조/조리/포장/보관/수송 또는 판매하는 산업 농수산물에 인공을 가하여 생산·가공·제조·조리하는 산업 및 이 산업으로 생산된 산물을 포장·보관·수송 또는 판매하는 산업 등
소재 및 생산 설비 산업 소재 농림수산식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 또는 중간생산물 중 농림수산식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가 큰 것으로 농약, 비료, 양액, 사료, 동물약품, 포대, 필름 또는 포장재와 그 밖에 유사한 것
생산설비 농소재를 제조·가공하는 설비 중 농림수산식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가 큰 것으로서 기계 또는 공구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매출액 중 소재 또는 생산설비의 매출액이 50% 이상이고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기업 -
기타 농림수산식품
관련 산업
농업 관련 산업 농산물 유통·가공업, 농업·그린바이오, 야생조수사육업, 분재생산업, 조경업 등
임업 관련 산업 임산물 유통·가공업, 야생조수 사육업, 분재생산업 및 조경업, 수목조사업 등
수산업 관련 산업 수산물 유통·가공업, 수산바이오, 종묘산업, 해양심층수산업, 낚시 등 수산레저산업 및 어업 컨설팅업 등 수산업 관련 서비스업
농업 관련 서비스업 애완동물산업, 말산업, 농촌관광 등
식품업 관련 산업 식품포장용기 제조업 및 음식료품 가공기계 제조업 / 음식료품 도소매업 등 식품산업 관련 서비스업
곤충산업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12조 제1항에 따라 곤충의 사육, 생산, 가공 또는 유통의 신고를 한 자
해외농업개발사업자 「해외농업개발협력법」제2조 제6호의 해외농업개발사업자
원양산업자 「원양산업발전법」제2조 제4호의 원양산업자
연구개발(R&D) 「과학기술기본법」제2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41조에 따른 「국가과학기술분류체계」의 농림수산식품분야 연구개발(R&D)에 종사하는 자

투자분야

민원서식 목록
사업분야 투자대상 실제 해당 펀드에 투자된 경영체의 아이템
(19~23) 수산일반 농림수산식품경영체 중 수산업, 수산식품분야 사업을 영위하(려)는 경영체 또는 수산업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원양산업자 및 수산 관련 R&D에 종사하는 경영체 어류, 활어, 수산물, 건어물, 어묵, 유통, 건기식
(20~22) 수산벤처창업 농림수산식품경영체 중 수산업, 수산식품분야 사업을 영위하(려)는 경영체 또는 수산업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원양산업자 및 수산 관련 R&D에 종사하는 경영체로서, 다음 ① ∼ ⑥ 중 하나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영체 ① 사업 준비단계 또는 사업개시 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
② 정부‧공공기관이 인증‧확인한 수산분야 벤처기업, 스타트업 기업 등
③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주관한 창업경진대회에서 입상한 수산분야 창업아이템을 활용하는 기업
④ 수산 관련 공공‧민간의 연구개발 성과 또는 정부‧공공기관 인증을 받은 신기술을 사업화‧활용하는 기업
⑤ 수산물‧수산업과 관련된 ICT 등 융복합 기술을 사업화‧활용하는 기업
⑥ 수산분야 청년기업(대표자 또는 임직원의 50% 이상이 만 39세 이하)
수산물 가공, 응용소프트웨어, 연구개발
(23) 스마트양식 미래지향적 스마트양식 및 수산부산물 관련 사업을 영위하(려)는 경영체 중 다음 ①, ②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영체 ① 스마트양식 : ICT 및 각종 첨단 기술을 양식 산업에 접목하여 양식의 자동화ㆍ지능화 등을 선도할 수산경영체
② 수산부산물 : 수산부산물의 친환경적ㆍ위생적 처리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통해 폐기율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수산경영체
양식, 스마트, ict, 부산물
농림축산식품일반 농식품경영체 중, 농림축산식품분야 사업을 영위하(려)는 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23) 수출 농식품경영체 중 국내산 농·임산물, 가공식품 및 스마트팜(시공·시설자재·기자재 등) 등을 해외에 수출하(려)는 경영체 중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에 속하지 않는 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20~22) 영파머스 다음 ① ∼ ③ 중 하나에 해당하며 1차 농산업을 영위하(려)는 농식품경영체 ①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이거나, 만 49세 이하 임직원 비중이 50% 이상인 경영체
②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이며 청년창업농 또는 후계 농업인에 선정된 경영체
③ 창업 7년 미만이고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인 농업법인
농업, 식품, 제조, 유통 (아이스크림, 김, 땅콩, 청과, 건기식)
(23) 영파머스 다음 ① ∼ ③ 중 하나에 해당하며 1차 농산업을 영위하(려)는 농식품경영체 ①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이거나, 만 49세 이하 임직원 비중이 50% 이상인 경영체
②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이며 청년창업농 또는 후계 농업인에 선정된 경영체
③ 창업 7년 미만이고 대표자가 만 49세 이하인 농업법인
농업, 식품, 제조, 유통 (한우가공, HRM, 버섯, 차류, 식자재)
(20~21) 농식품벤처 사업 개시 후 5년 미만으로 R&D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을 활용하여 농업분야 가치창조를 모색하면서 다음 ① ~ ④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하는 농식품경영체 ① 농업계열 고교 및 농식품계열 대학 졸업자가 대표자, 최대주주이거나, 등기임원 중 2인 이상인 경영체
② 대표자가 만 39세 이하 이거나, 만 39세 이하 임직원 비중이 50% 이상인 경영체
③ 사업 준비단계 또는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의 농식품경영체
④ 스마트팜 보육센터 수료생 창업 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한우가공, HRM, 버섯, 차류, 식자재)
(22~23) 농식품벤처 사업 개시 후 5년 미만으로 R&D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을 활용하여 농업분야 가치창조를 모색하는 농식품경영체로서 다음 ① ∼ ⑤ 중 하나에 해당하는 농식품경영체 ① 농업계열 고교 및 농식품계열 대학 졸업자가 대표자, 최대주주이거나, 등기임원 중 2인 이상인 경영체
② 대표자가 만 39세 이하 이거나, 만 39세 이하 임직원 비중이 50% 이상인 경영체
③ 사업 준비단계 또는 사업개시 후 3년 미만의 농식품경영체
④ 스마트팜 보육센터 수료생이 창업한 스마트팜 경영체
⑤ 우수기술 등급(투자용 기술평가모형에 근거한 T1∼T4) 보유 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한우가공, HRM, 버섯, 차류, 식자재)
(19~21) 마이크로 사업준비 단계 또는 사업 개시 후 5년 미만의 농식품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단백질, HRM, 전자상거래, 밀키트)
(22~23) 마이크로 다음 ①, ② 중 하나에 해당하는 농식품경영체 ① 사업준비 단계 또는 사업 개시 후 5년 미만의 농식품경영체
② 사업 개시 후 7년 미만으로 투자 직전년도까지 각 연도별 연간 매출액이 20억 원 이하인 경영체
농업, 식품, 제조, 유통 (단백질, HRM, 전자상거래, 밀키트)
(20) 경북지역특성화 농식품경영체로서 농식품경영체로서 ① 출자한 지자체(경북) 내 본점이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두고 있는(두려는) 경영체 또는 ② 출자 지자체(경북) 내 투자를 통해 고용창출 효과가 예상되는 경영체 양계, 데이터, 플랫폼, 스마트팜
(21~22) 스마트농업 다음 ①, ② 중 하나에 해당하는 농식품경영체 ① ICT 및 각종 첨단 기술과 농업 생산을 비롯해 농업 밸류체인(생산준비단계, 생산, 유통 등) 전반을 접목한 농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할 농식품경영체
②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농업분야의 탄소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농식품경영체
양돈, 스마트팜, 축산물, 동물용의약품
(23) 스마트농업 ① 스마트농업 : ICT 및 각종 첨단 기술과 농업 생산을 비롯해 농업 밸류체인(생산준비, 생산, 유통 등) 전반을 접목한 농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할 경영체
② 탄소중립 : 혁신기술을 활용해 농업분야의 탄소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영체
③ ①, ② 중 하나를 수출하(려)는 경영체
양돈, 스마트팜, 축산물, 동물용의약품
(21~22) 그린바이오 농식품경영체 중 그린바이오 5대 분야(① ~ ⑤) 사업을 영위하(려)는 농식품경영체
①마이크로바이옴, ②대체식품·메디푸드, ③종자산업, ④동물용 의약품, ⑤기타 생명소재
한약재, 건기식, 식용유지
(23) 그린바이오 생명자원 및 정보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다음 5대 분야(① ~ ⑤)로 구분되는 그린바이오산업 분야의 사업을 영위하(려)는 농식품경영체
①마이크로바이옴, ②대체식품·메디푸드, ③종자산업, ④동물용 의약품, ⑤기타 생명소재
한약재, 건기식, 식용유지
푸드테크 푸드테크 10대 핵심분야(① ~ ⑩)에 종사하(려)는 사업 준비 또는 사업 개시 후 7년 미만 농식품경영체
①세포배양식품 생산기술, ②식물기반식품 제조기술, ③간편식제조기술, ④식품프린팅 기술, ⑤식품 스마트제조기술, ⑥식품 스마트 유통기술, ⑦식품 커스터마이징, ⑧외식 푸드테크 기술, ⑨식품 업사이클링 기술, ⑩친환경 식품포장기술
배양육, HRM, 유통, 푸드테크, 친환경
징검다리 농식품투자조합으로부터 기존에 투자금을 받은 농식품경영체 중 향후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농식품경영체 브랜드커머스, 배송, 축산, 가공
창업보육 벤처·창업 지원 수혜(농식품 벤처·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또는 청년식품창업Lab 사업을 통해 초기 창업보육을 거친 창업 7년 이내 농식품 기업)를 받은 농식품경영체(3억원 이내로 투자) 스마트팜, 배송, 건기식, 양액, 가공
(23) 농식품혁신스타트업 농식품투자조합법 제3조, 동법 시행령 제3조 및 시행규칙 제2조에 따른 농식품경영체 중 ① 투자유치 이력이 없는 경영체로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창업기업 또는 ② 「후계농어업인 및 청년농어업인 육성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청년농업인이 대표권이 있는 임원으로 투자 시점 6개월 전부터 계속하여 등기되어 있는 경영체 -
세컨더리 ① 농식품모태펀드로부터 출자받은 자펀드가 농식품경영체에 신규 투자한 투자자산의 인수* 또는
② 농식품모태펀드로부터 출자받은 자펀드의 지분 매입
* ①의 경우, 프로젝트 투자 방식의 투자 지분은 인수대상에서 제외
※ 단, 농식품투자계정에 한함
-

관련법령

민원서식 목록
번호 제목 바로가기
1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2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3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4 농림수산식품투자모태조합 및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의 운용 등에 관한 기본규정
5 그 밖의 농림수산식품산업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
6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7 조세특례제한법
8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투자유치 전 지원

01 투자유치 상담지원

  • 사업 개요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제도, 투자 대상 및 절차, 투자지원사업 등 안내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경영체 기초 정보 및 사업 내용 파악 후 투자지원사업 등 투자 유치를 위한 정보 제공

02 현장코칭 지원

  • 사업 개요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기초 컨설팅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사업 비즈니스 모델, 제품/서비스, 대표자 역량 등 경영체 분석 등 기초 컨설팅 지원

03 맞춤형 컨설팅 지원

  • 사업 개요

    경영체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한 투자유치 역량 강화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투자유치 기본 교육, 기업 종합 진단, 투자유치 전략 수립, 사업계획서 및 IR자료 작성 등 경영체의 특성과 여건에 따른 컨설팅 지원

04 사업설명회(IR) 참가 지원

  • 사업 개요

    성장성 있는 우수 비즈니스모델을 보유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대상 투자 유치 기회 제공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농식품투자조합 운용사 등 농식품 분야 투자자 대상 사업설명 및 네트워킹 기회 지원

투자유치 후 지원

01 온라인 마케팅 지원

  • 사업 개요

    피투자 농림수산식품경영체별 맞춤형 온라인 홍보 지원을 통한 마케팅 역량 강화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이 투자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경영체별 마케팅 역량 진단 및 온라인 마케팅 교육, 인플루언서·PR 등 온라인 마케팅 지원

02 오프라인 마케팅 지원

  • 사업 개요

    피투자 농림수산식품경영체의 제품 판로 확대 및 사업역량 강화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이 투자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국·내외 해외 박람회 참가 지원, 구매·수출 상담회 등을 통한 사업소개 및 홍보 등 현장마케팅 지원

03 스케일업프로그램 지원

  • 사업 개요

    피투자 농림수산식품경영체의 가치 상승을 위한 성장단계별 맞춤 컨설팅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이 투자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경영·재무·회계·법률·사업전략·IPO·M&A 등 경영체별 맞춤 컨설팅 지원

04 후속투자 유치 지원

  • 사업 개요

    피투자 농림수산식품경영체의 지속 성장을 위한 후속 투자 유치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이 투자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징검다리펀드 운용사 및 농식품 분야 투자자 대상 사업설명 및 네트워킹 기회 제공

05 투자자산 회수 지원

  • 사업 개요

    농식품 산업의 투자자산 회수시장 조성 등 농식품모태펀드의 선순환 투자구조 조성 지원
  • 지원 대상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이 투자한 농림수산식품경영체
  • 지원 내용

    IPO, M&A 전문가 강연 및 구매 희망 수요기업과의 비즈니스 미팅 등 컨퍼런스 개최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이란?

Crowd Funding

농식품 크라우드펀딩은 농식품 기업이 창업 초기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중개업자의 온라인플랫폼에서 “집단지성(The Wisdom of Crowds)”을 활용하여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유형별 분류

민원서식 목록
유형 자금모집방식 보상방식
증권형 (투자형) 증권(주식·채권) 발행 금전적 보상 (배당금, 원금/이자 등)
후원형 (리워드형) 후원 / 기부금 납입 농식품 기업이 생산/유통하는 재화·서비스 등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중개업체 농심품 분야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개인이나 기업은 프로젝트를 개설하고 이를 많은 대중들에게 알려 자금을 모집하게 됩니다. 이때 프로젝트 개설자와 대중들을 연결해주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중개업체)입니다.

민원서식 목록
구분 중개업체 홈페이지 바로가기
후원형·증권형 모든 프로젝트 진행 가능 와디즈 https://www.wadiz.kr
크라우디 https://www.ycrowdy.com
오마이컴퍼니 https://www.ohmycompany.com
펀딩포유 https://www.funding4u.co.kr
후원형 프로젝트만 진행 가능 텀블벅 https://tumblbug.com
해피빈 https://happybean.naver.com/crowdFunding
증권형 프로젝트만 진행 가능 IBK투자증권 https://crowd.ibks.com/
코리아에셋투자증권 https://crowd.kasset.co.kr/main

투자자격 및 한도

민원서식 목록
구분 투자자구분 동일기업당 투자 한도 연간 총 투자한도
증권형 일반투자자 500만 원 1,000만 원
적격투자자 1,000만 원 2,000만 원
전문투자자 한도 없음 한도 없음
후원형 제한 없음
※ 적격투자자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사업소득+근로소득이 1억원 이상인 자
※ 전문투자자 : 창투조합, KVF, 신기술조합, 개인투자조합, 전문엔젤, 적격엔젤 등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주요 발행방법

민원서식 목록
유형 증권형 후원형
자격요건 자본시장법에 따른 창업 7년 이내 비상장 중소기업 또는 코넥스 상장 후 3년이 경과하지 않고 공모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경험이 없는 기업. 단,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은 업력과 무관하게 진행 가능
1)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메인 비즈기업, 인증 사회적기업
2) 프로젝트성 사업 수행자
* 상기 자격을 갖추었더라도 금융·보험업, 부동산업, 무도장운영업, 갬블링·베팅업 등 특정 업종은 제외
농식품 관련분야의 모든 법인 및 개인 사업자 (개인사업자 포함)
발행금액 연간 30억 원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모집가액과 과거 1년간 발행금액의 합산이 발행한도 30억 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최저 및 최대 제한한도 없음
제출서류

사업자등록증

직전 3개년도의 재무제표

정관

법인등기부등본

기타 사업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 등

기업소개 자료

꼭! 확인하세요.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에 대해 온라인 교육자료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농작물 재배업, 축산업, 임업, 식품산업, 반려동물 산업, 곤충산업 분야 등 농식품 분야에 종사하는 개인 및 사업자

지원내용※ 모든 지원사업은 중복 신청이 가능합니다.

01 "현장코칭" 이란?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대체 무엇인가요?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제도와 중개사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전문 컨설팅 기관에서 직접 경영체에 방문하여 크라우드펀딩 제도, 유형, 전략을 1:1 안내해드립니다.
민원서식 목록
구분 증권형 후원형
지원내용 기본 (공통) 기업분석, 펀딩유형 및 전략 수립, 투자 전략 코칭 등
심화 증권형 구조 설계(형태, 조건, 시기, 투자포인트 등),
IR 자료 자문, 투자 상담 등
후원형 상품 구성 및 마케팅 콘텐츠 관련 상담,
사업자에 맞는 중개사 안내 등
지원기업 선착순 50개사

02 “컨설팅 비용지원” 이란?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오픈을 위한 비용이 부담되신다면?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오픈을 위한 법률 및 회계자문, 기업 및 제품의 홍보 콘텐츠 제작 (사진, 동영상, 상세페이지 제작 등), SNS
홍보 비용을 지원해드립니다!
민원서식 목록
구분 증권형 후원형
지원금액 250만원이내 (vat 제외 100%) 100만원이내 (vat 제외 100%)
※ 컨설팅 비용지원, 수수료지원은 선착순으로 지원되며 예산 소진시 조기마감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및 청구 순서

STEP 1

컨설팅 업체 선정

STEP 2

기업정보입력 * 증빙서류 : 거래내역서,
컨설팅 업체 사업자등록증,
지출증빙(하단참조)

STEP 3

크라우드펀딩오픈!

STEP 4

청구서 제출 * 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

컨설팅 비용지원 안내사항

1. 신청 후 30일 이내 청구서 미제출시, 지원사업 신청이 자동 취소됩니다.
2. (컨설팅 업체 선정) 농식품 경영체에서 직접 선정하여 진행하되, 해당 분야의 전문 업체임을 확인할 수 있는 사업자등록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3. (청구서류 제출) (선택1)견적서 또는 (선책2)거래내역서(농식품 경영체-컨설팅 업체), 컨설팅 업체 사업자등록증, 지출증빙 (선택1) 카드전표 또는 (선택2) 세금계산서, 입금내역서
4. (콘텐츠 제출) 제작하신 콘텐츠는 압축하여 이메일(805@apfs.kr)로 별도 제출하셔야 접수가 완료됩니다.
5. (제출 시점) 크라우드펀딩 오픈일자부터 제출이 가능합니다.
6. (지원 한도) 사업자당 펀딩 유형별 1회(증권형 250만원, 후원형 100만원)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예시) A기업이 증권형, 후원형 모두 신청할 경우 각 1회씩 총 2회 지원 가능

03 "수수료지원" 이란?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펀딩 성공 이후 플랫폼사(중개사)에 지급하는 수수료가 부담되신다면?

크라우드펀딩 성공 시 사업자가 플랫폼사(중개사)에 지급하는 광고,중개수수료(모집성공금액의 일정비율 적용)를 지원해드립니다!단, 펀딩 목표금액 미달로 인해 프로젝트가 무산될 시 중개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수료지원은 미지급되며, 광고수수료의 경우 펀딩 실패시에도 한도내 지원 가능합니다!
민원서식 목록
구분 증권형 후원형
지원금액 300만원이내 (vat 제외 100%) 100만원이내 (vat 제외 100%)
※ 수수료지원 기업별 한도는 동일하며(증권형 3백만원, 후원형 1백만원), 광고수수료의 경우 프로젝트당 10만원의 별도 한도 책정
※ 컨설팅 비용지원, 수수료지원은 선착순으로 지원되며 예산 소진시 조기마감될 수 있습니다.
신청 및 청구 순서

STEP 1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오픈 및 진행

STEP 2

모집성공

약 2주 소요

STEP 3

중개사 정산내역서
및 세금계산서 발행

STEP 4

청구서 제출 * 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

수수료지원 안내사항

1. 프로젝트 종료 후 30일 이내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기한 내 제출이 불가능할 경우, 농금원에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2. (청구서류 제출) 세금계산서(중개사 발행), 정산내역서(중개사 발행)
5. (제출 시점) 크라우드펀딩 모집 성공 및 정산내역서 발행 이후 제출이 가능합니다.
6. (지원 한도) 사업자당 펀딩 유형별로(증권형 300만원, 후원형 100만원)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횟수 제한 없음)

04 "데모데이" 이란?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성공 기업들의 후속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사업설명회(IR) 기회를 제공하고 투자자와의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연 2회 개최 예정이며 상세 일정 추후 공지)

05 "맞춤형 IR 컨설팅" 이란?

데모데이(IR) 참여기업 대상으로 IR 자료 분석 및 피칭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연 2회 개최 예정이며 상세 일정 추후 공지)

06 "구매상담회 및 팝업스토어 지원" 이란?

지원사업을 통해 펀딩에 성공한 농식품 기업의 유통채널 확대 및 매출 성장 지원을 위한 판로 확대와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합니다. (연 1회 개최 예정이며 상세 일정 추후 공지)